
감염관리 전담인력의 역할 재정립병원 내 감염관리 인력이 늘어나고, 감시 시스템이 정교해지면서‘감시간호사’와 ‘감염관리자’ 사이의 경계도 점점 모호해지고 있습니다.이제는 명확하게 전담인력의 역할과 책임을 재정립해야 할 시점입니다.감시간호사 vs 감염관리자 역할 구분전통적으로 감시간호사는 감염 발생 감시와 보고 업무를 중심으로,감염관리자는 정책 수립과 전반적 프로그램 운영을 맡는 구조였습니다.하지만 최근에는 이 두 역할이 교차되는 경우가 많아졌죠.이처럼 분업은 하되,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병동 협력관계 속 ‘정보 교차점’으로서의 감시간호사감시간호사는 병동 간호사와 감염관리자 사이에서실시간 정보를 연결하고 전달하는 중재자의 역할을 합니다.병동에서 관찰된 감염 사례를 근거로 감염 발..
병동의감시 간호사 선정!병원의 눈과 귀를 맡은 전문가병동의 ‘감시 간호사’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자료를 모으고, 보고서를 작성하고, 감염이 생기면 ‘신고하는 사람’ 정도로 생각할 수 있겠죠.하지만 이제 병동의 감시 간호사의 역할은 훨씬 더 복잡하고, 더 전략적입니다.그들은 단순히 감염을 ‘기록’하는 사람이 아닙니다.병원 감염을 미리 감지하고, 조직 내 감염 확산을 끊는 가장 앞선 경계선에서 활동하는 임상 감시 전문가입니다.그들의 판단은 곧 병원의 감염률, 그리고 의료 질 지표와 직결되죠.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단 하나,'감시 간호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그 역할을 명확히 정립하는 일”입니다.이 글에서는 신규 간호사 교육 커리큘럼부터 감시 정확도 향상, 역할 재정립, 인증제도 연계까지현장의..
감염관리의 최전선, 감시 간호사의 존재 의미“병원 감염을 줄이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사실 꽤 분명합니다. 감염이 발생하기 전, 위험을 포착하고 데이터를 분석해 대응 전략을 짜는 이들—바로 감염감시 간호사(Infection Surveillance Nurse)입니다. 병원의 조용한 첨병이라 불릴 정도로, 이들의 역할은 현장 그 자체에 깊이 박혀 있습니다. 그런데 중요한 건, 이들이 과연 적절한 교육과 체계 안에서 훈련받고 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단순한 감시 그 이상입니다. 신규 감시 간호사들에게는 명확하고 실질적인 커리큘럼이, 현장에서는 감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교육과 시스템이, 그리고 무엇보다 이들을 하나의 전문 직군으로 확립할 제..